웹 서비스 요청의 80%는 단순 읽기 작업이라고 한다. 따라서 개발 속도는 빠르지만, 상대적으로 성능이 떨어지는 Python 기반의 웹 서버를(Flask, Django 등) Gateway로 두고 Core Engine으로 고성능 서버(Go 등)를 활용하는 MSA 방식이 요즘 유행이다. Python 기반의 웹 서버는, GIL 제약에 의해 멀티스레드 병렬 처리를 활용하지 못 하지만 I/O 작업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다. I/O 대기시간엔 CPU를 사용하지 않는 데다가, 기다리는 동안 GIL을 놓고 추가 스레드를 생성해 다른 작업을 맡길 수 있기 때문이다. 명시적 비동기 처리를 하지 않더라고 비동기 "처럼" 동작하기 때문에 I/O 작업엔 크게 무리가 없고(그렇다고 더 빠르단 건 아니다), 개발 속도가 빠르다는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