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Q 비동기 도입 전/후 테스트를 진행하며, 파이썬의 I/O 작업 처리 방식에 궁금증이 생겼다. 1초가 걸리는 요청을 초당 100개씩 보냈는데도 1초마다 100개를 전부 응답했기 때문이다. 파이썬은 GIL 때문에 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다가, 내가 비동기 처리를 하지 않았는데도 비동기처럼 동작하길래 무슨 원리인지 궁금해서 파 보았다. GIL(Global Interpreter Lock)GIL은 Global Interpreter Lock의 약자로서, 간단히 말하면 파이썬에서 하나의 프로세스(워커)가 동시에 하나의 CPU 작업만 실행하게 하는 제약조건이다. 이 제약 때문에 파이썬 코드는 언제나 동시에 단 한개만 실행된다. 그러나 이것이 싱글스레드로 동작한다는 말은 아니다. 필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