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피보나치 2

[Baekjoon 1904 / python / 실버3] 01타일

x = int(input()) d = [0] * (x + 2) d[1] = 1 d[2] = 2 for i in range(3, x + 1): d[i] = (d[i-1] + d[i-2]) % 15746 print(d[x])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문제이다. 점화식만 찾으면 아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계산값을 저장해둘 DP테이블(리스트 d)를 생성하고, 초기값을 넣어준다. d[1]엔 1길이의 수열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의 개수, d[2]엔 2길이, d[x]엔 x길이의 수열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의 개수가 들어간다. 타일 경우의 수를 구하는 것은 언뜻 답이 없어 보이지만, 규칙이 있다. 현재 값들에 1을 붙이고, 이전 값들에 00을 붙이면 그게 다음 값이 된다. 즉 N=4 일 때의 경우의 수를 구..

[크래프톤 정글 5기] week01 알고리즘 주차 여섯번째 날, 해시 테이블, 힙, 우선순위 큐, 이진 트리, 피보나치

해시 테이블(Hash Table)- 먼저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 데이터가 필요하다.- 여기서 “key”를 해시값으로 만들어, 해당 해시값을 “인덱스”로써 활용하여 테이블에 저장한다. 여기서 해시값은 정수 형태가 된다.- 데이터(value)를 해시하여 인덱스로 쓰는 거 아니냐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럴 경우 value가 같으면 인덱스가 중복될 수 있다. 해시함수는 같은 입력에 대해서 항상 같은 해시값을 만들기 때문이다.- 어떤 값을 찾든 O(1)의 복잡도를 가진다. 고유값으로 접근하면 되기 때문.- 해시 테이블에서 만들어진 원소를 버킷(Bucket)이라고 한다. 해시 테이블의 장/단점- 장점 : 자료의 검색, 읽기, 저장 속도가 빠르다. 즉 데이터 조회가 빠르다.- 장점 : 자료가 중복되는..

728x90
반응형